빨간집의 책 20

안창마을 주민 인뷰집: 이야기가 열리는 안뜰, 안창(2022)

발행정보 발행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발행일: 2022년 4월 15일 펴낸곳: 빨간집 자문 및 감수: 김한근(부경근대사료연구소), 동길산(시인), 박 대성(범천2동 22통 통장), 박용오(안창마을 활동가) 책임연구: 배은희 연구원: 배길남, 염수정 사진: 최우창(PHOS) 편집디자인: 이노그램디자인 인쇄처: 까치원색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시민공원로 30 부산진구청 발간번호: 52-3290000-000058-01 ISBN 979-11-977852-2-1(03090) 들어가며 안창마을은 하나의 마을이지만 호계천을 따라 부산진구와 동구, 두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 우리는 부산진구 범천2동 22, 23통 지역의 안창마을 주민들을 만났다. 이곳은 팔금산 바로 아래에 위치해 공기 좋고 한적한..

사소한 기억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2021)

E-Book으로 보기 https://issuu.com/home/published/_4_ Sign in to Issuu | Easy-To-Use Content & Distribution Tools Welcome back! Connect now using Or I don’t remember my password issuu.com 발행정보 발 행 처 : 부산광역시 연제구 발 행 일 : 2021년 7월 26일 펴 낸 곳 : 빨간집 자문 및 감수 : 김한근(부경근대사료연구소), 차철욱(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책임연구 : 배은희 연 구 원 : 배정애 도시기록자 : 강다이, 강성화, 박소영, 윤해정, 이슬기 사 진 : 이화숙 표지·내지 일러스트 : 이유진 편집디자인 : 이노그램디자인 인 쇄 처 : 까치원색 주..

서동로149번길에서 서부로16번길까지(2018)

발행정보 발행처: 금정구, 금정문화재단 펴낸날: 2018년 12월 27일 펴낸곳: 빨간집 책임편집: 계선이 취재 및 원고 집필: 윤주 사진 촬영: 이화숙 운영지원: 박보승, 유반야 인쇄처: 까치원색 ISBN 979-11-959720-7-4 (03810) ※ 본 도서는 2018년 서동예술창작공간 지역 스토리 콘텐츠 제작 사업으로 만들었습니다. 들어가며 서동 미로마을은 1960년대 도시계획 때문에 철거당한 이주민들의 정책이주지역이었습니다. 좁은 구역에 집을 짓고 낯선 곳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내야 하는 고단한 시작이 있었던 곳이었지요. 뒤이어 1970년대 이웃마을인 금사동에 공단이 들어서면서 일자리를 찾아 사람들은 더욱 몰려왔고, 서동은 부산경제를 책임지는 중요한 곳으로 번영기를 맞이합니다. 사람들이 몰리며 ..

당신을 기억하는 감성 프로젝트 <당감>(2018)

E-Book으로 보기 https://issuu.com/home/published/_ Sign in to Issuu | Easy-To-Use Content & Distribution Tools Welcome back! Connect now using Or I don’t remember my password issuu.com 당감행복한마을 주민인터뷰는 도시활력 증진사업의 대상지인 당감행복한마을을 중심으로 이북동네, 구시장과 당감시장 인근에 거주하거나 가게를 하고 있는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 지역은 당감동에 사람이 들어와 마을이 생기된 초기의 역사를 담고 있는 지역이며, 오랜기간 정착해 살며 옛 기억을 가지고 있는 주민들이 많은 곳이다. 당감시장은 당감동의 모든 정보가 오가고 주민들이 교류하는 곳이기도..

서점은 내가 할게

발행정보 초판 1쇄 발행 2022년 1월 31일 지은이: 강정아, 이화숙 펴낸이: 배은희 펴낸곳: 빨간집 편집: 계선이, 박지영 디자인: 이노그램디자인 일러스트: 김예영 사이즈: 130*190mm 쪽수: 312쪽 가격: 15,000원 ISBN 979-11-969056-9-9(03810) 어린이 문학정신을 지켜나가는 동네서점 책 소개 은 1997년 문을 연 이래 25년째 수많은 독자와 작가의 사랑을 받으며 동네에 단단히 뿌리 내리고 있는 서점이다. 책을 판매하는 공간 외에도 아름드리 동백나무와 철 따라 다른 꽃이 피는 마당이 있고 책을 읽고 머물 수 있는 책사랑방이 있으며 작가와의 만남과 예술 공연, 그림책 교실, 옛이야기 시간, 독서 모임, 강연, 워크숍, 캠프 등이 열린다. 각종 원화 및 기획 전시가 ..

기록하는 여자들, 두 번째: 딸들의 역사

발행정보 도서명: 기록하는 여자들, 두 번째: 딸들의 역사 발행일: 2021년 12월 10일 지은이: 강수현, 이윤정, 박새들, 안은경, 허실, 이자영, 임봉, 정효진, 연이 펴낸곳: 빨간집(제2015-000013호) 편집디자인: 이노그램디자인 일러스트: 김수연 ISBN : 979-11-969056-6-8 (03810) 쪽수 : 130p 사이즈 : 128*182mm 가격 : 12,000원 책소개 ‘기록하는 여자들’은 빨간집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이야기와 글쓰기를 통한 여성의 일상을 기록해 책으로 발간하는 프로젝트이다. 2020년에는 코로나로 바뀐 일상을 여성의 입장과 시각으로 서술한 를 발간했고, 이번에는 두 번째 결과물로 를 발간하게 되었다. 누군가의 딸, 나의 딸 혹은 또 다른 딸로서 여성의 일상 ..

이만하면 잘 살아왔다

발행정보 발행일 : 2021년 5월 8일 글 : 조지영 편집디자인 : 조지영 이미지 편집 : 장종현 구술 : 박흥순, 조이남 도움 : 조지홍, 조지현, 조지호, 장민서 그림 : 홍지영 펴낸곳 : 빨간집(제2015-000013호) ISBN : 979-11-969056-3-7(03810) 쪽수 : 174p 사이즈 : 148*210mm 가격 : 13,000원 책 소개 기록관리전문직으로 일하고 있는 저자는 어느 날 부모님이 모아둔 사진을 책으로 엮어보기로 결심했다. 사진을 스캔하고, 서울-부산 간의 거리는 영상통화와 메신저로 메워 부모님께 사진 이야기를 듣고 글로 정리했으며, 책의 편집디자인까지 직접 했다. 부모님의 옛 사진에는 부모님의 개인사가 담겨 있을 뿐 아니라 부모님 세대가 겪었던 사회와 시대상이 고스란..

기록하는 여자들, 첫 번째: 나의 코로나19

발행정보 발행일 : 2021년 3월 22일 지은이 : 강미미, 강수연, 김현정, 별숲, 손은주, 윤주, 조약돌 펴낸이 : 배은희 디자인 : 옥지민 펴낸곳 : 빨간집(제2015-000013호) 등록일 : 2015년 11월 9일 ISBN : 979-11-969056-3-7(03810) 쪽수 : 130p 사이즈 : 128*182mm 가격 : 10,000원 책 소개 여전히 적응할 수 없는 현실뿐이었던 2020년 말, 기록하는 여자들이 모였다. 부산시민도서관의 프로그램으로 2020년 10월말부터 5주간 10번의 만남을 이어갔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시대의 변화된 일상을 여성의 경험과 입장에서 글을 쓰며 동시대를 기록했다. 차례 서문 2020년 부산 코로나19 연표 강미미 | 방콕 육아에 갇힌 엄마의 삶의 균..

신간도서 <커뮤니티 아카이브 만들기>를 소개합니다!

기록해야 할 이야기가 있나요?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의 평생 학습 기관인 센다이미디어테크는 2011년 3월 11일 동일본대지진이라는 사상 초유의 재난이 발생하자 같은 해 5월 3일 ‘3월 11일을 잊지 않기 위하여 센터(약칭 와스렌!)’를 개설했습니다. 와스렌!은 지진에 관한 기억 및 피해 복구, 부흥 과정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입니다. 전문가와 아마추어 구분없이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수동적인 시청자, 소비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문구처럼’ 쓰자고 제안합니다. 와스렌! 참가자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영상 기록을 남기고, 스탭과 참가자가 기록을 보존하고 공유할 방법을 협의 했습니다. 스탭들 또한 처음부터 세세한 방식을 정해놓지 않고 하나씩 만들어 가는 '풋내기 아카이브' 정신을 실현..

커뮤니티 아카이브 만들기: 센다이미디어테크 ‘3월 11일을 잊지 않기 위하여 센터’ 분투기

발행정보 초판 1쇄 발행 2021년 1월 11일 지은이: 사토 토모히사, 카이 켄지, 기타노 히사시 옮긴이: 윤주 편집·기획: 계선이 번역·편집 검토: 이화숙 디자인: 스튜디오숲 펴낸이: 배은희 펴낸곳: 빨간집 사이즈: 127*200mm 쪽수: 344쪽 가격: 16,800원 ISBN: ISBN 979-11-969056-2-0(93300) 책 소개 커뮤니티 아카이브의 구상과 설계부터 실행 과정, 성과와 과제까지! 풍부한 사례와 이론, 노하우를 들어 커뮤니티 아카이브 방법론을 소개하는 국내 최초 ‘커뮤니티 아카이브’ 안내서 이 책은 센다이미디어테크가 운영하는 커뮤니티 아카이브 플랫폼인 ‘3월 11일을 잊지 않기 위하여 센터(약칭 와스렌!)’의 활동 기록이다. 센다이미디어테크는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에 소재한..